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을 입력해주세요.-001 (1).jpg

 

사회주택 기금은 사회주택 공급자들의 자금난 해소를 목적으로 

사업비를 대여해주고 있지만 사회주택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기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번 민간 사회주택기금 간담회에서는 사회주택 사업자 및 협회 관계자들과 함께 

사회주택기금의 운영 현황을 알아보고 사회주택 현장에 적합한 기금의 운영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간담회 때 나온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김민철 대표 (주)서울소셜스탠다드

평당 공사비는 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현장에 맞는 공사비 기준이 보완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외부 공간(조경) 공사비도 비용 반영이 필요해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주택 유지관리에 대한 대출도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채준배 국장 한국 사회주택협회

대출뿐만이 아니라 출자도 고민해 봤으면 합니다.

 

현승헌 대표 (주)선랩건축사사무소

사회주택 본연의 취지를 담을 수 있는 금융조건과 건축조건을 만드는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원사업은 홍보물을 게시판에 붙여놓을 수 있도록 하면 입주자가 더 많이 활용 할 수 있어 보입니다.

 

박종숙 이사 함께주택협동조합

시민청약이나 사회주택청약처럼 시민들이 참여하는 상품을 개발해서 시민자금을 모으는 일을 

기획했으면 합니다. 기존 금융기관에서 개인연대보증의무를 덜어주고, 사업자체의 실현가능성이나 

의미를 보증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는 것을 제안합니다.

 

남철관 지역활성화국 국장 나눔과미래

새로운 사회주책의 활로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공공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 있는 조직들이 

활로를 뚫어서 궁극적으로는 기금을 늘려보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겠습니다.

 

한영현 이사장 마을과집협동조합

지역사업자들의 참여를 골한 기금대출 대안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

  1. "지역주민이 부동산을 소유해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이뤄집니다"

  2. [지역자산화 이야기] 지역자산화가 너무 어려워요. 자산화의 개념이 선뜻 와닿지 않아요?

  3. [청년 활동가의 시선] 정성현 활동가의 청년일기

  4. [작은연구 현황공유] 포스트코로나와 셰어형 주거공간

  5. [채용공고] 사근도시재생 중급코디네이터를 모십니다.

  6. 2021년 제3차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총회 공고

  7. 민간 사회주택기금 간담회 결과공유

  8. [공유/기사] 부동산자산화, 가진자들의 전유물에서 시민들의 향유물로

  9. No Image 01Apr
    by 관리자
    2021/04/01 by 관리자
    Views 84 

    [소식] 사회가치연대기금 시민참여 지역자산화프로그램2호 - '제주푸른 바이크 쉐어링' 매칭대출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