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활동가 이야기
2024.10.28 15:07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조회 수 1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앵커조직 전표석팀장

 

 

 

 공공미술의 사전적 정의는 공공의 장소에 놓이는 미술이다. 관계 법령에 의한 공공미술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신, 증축할 경우 도시문화 환경 개선 등을 위해 건축 비용의 일부를 사용해 설치해야 하는 미술작품으로 규정하고 있다.

 

 

 

[크기변환]FUJI9563.jpg

[순천만 국가정원]

 

[크기변환]FUJI9514.jpg

[녹동 썬비치호텔]

 

 위와 같은 조형물은 인물이나 신화적 인물의 전신상 형태로 제작되었고 미적 가치가 있는 오브제로서 공간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 가장 흔하고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유형으로 별다른 고민 없이 설치가 가능한 조형물이다.

 

 

 

 

[크기변환]FUJI9505.jpg

[녹동 장어거리]

 

[크기변환]FUJI9503.jpg

[녹동 장어거리]

 

 

 

[크기변환]FUJI9504.jpg

[녹동 음식거리]

 

[크기변환]FUJI9513.jpg

[녹동 음식거리]

 

 위의 조형물들은 간판에 가까운 형태로 제작되었고 같은 장소 반경 10m 내에 배치되어 있다.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내려 걷다 보면 1분 안에 상징성이 매우 짙고, 다양한 색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거리장어거리를 동시에 만날 수 있다. 공간 조성이라는 명목으로 사방에 알록달록 색칠된 조형물들이 즐비해 있으며 군민 편의를 위한 시설물을 조형물 바로 앞에 조성해 방치되어 있는 느낌까지 든다.

 

 

 

 

[크기변환]FUJI9509.jpg

[감성돔이 많이 잡히는 고흥 바다를 상징하는 '감성돔 포토존']

 

[크기변환]FUJI9512.jpg

[섬의 모양이 어린 사슴과 같다하여 '소록도 사슴 포토존']

 

 관광 인프라 조성을 위해 야심찬 계획과 함께 유명 작가와 협업하여 테마파크 형태의 공간 조성을 하기도 한다. 많은 지자체에서 시도하려고 하고 또 실행되었다. 내가 이 공간에 머무는 동안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다녀갔지만 포토존의 역할을 하는 두 공간은 쓸쓸하기만 했다. 문화적 참여 동기 부여가 결여되어 있었고 차가운 금속에 광까지 낸 조형물은 미관을 해치고 난해하기까지 했다. 공공미술을 어쩌면 장식으로 바라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환경 미화’, ‘시설물 개선등의 시각으로 접근하다 보니 공공성 실현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공공성의 실현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객관적 이해일까 특정된 관심일까.

 

 공공성의 실현을 위해선 대중의 참여를 통해 공공미술을 완성해야 한다. 공간의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인 맥락으로 접근해야 하며 목적과 방법을 토론, 합의와 조율을 통해야 한다. ‘창의적 개입과 대중의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간에 미적인 가치가 있는 조형물을 가져다 두는 것으로 끝내는게 아니라, 공동체를 주목하고 지켜보며 공간의 주체인 그들과 함께 대중의 삶에 참여하고 개입해 울림을 가져다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리적인 점에서 벗어나 공공의 주체인 대중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실천적인 행위로서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동체와 소통하고자 하는 태도에 기반한 문화적인 조사 아래,

공간의 주체인 '그들(공동체)'과 함께 대중의 관심을 헤아리며

대중을 위한 무대를 만드는 마음 아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지 않을까.

?

  1. 가의도 자연산 돌미역 사전구매 신청 OPEN! 한정물량 40개 선착순!

    연간 일주일 정도만 채취가 가능한 100% 자연산 해풍건조 미역 시중에 유통되지 않았기에 더욱 귀한 가의도 자연산 돌미역! 45명의 돌미역 시음단 모두를 사로잡은 그 맛을 이제 넉넉한 양으로 만나보세요!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올해 6월부터 태안군 가의도 섬 지역특성화사업의 현장관리단을 맡아 가의도의 보석같은 자원...
    Date2024.12.02 Category홍보 By관리자 Views48
    Read More
  2. 당연하지 않아야 할 일과 당연해야 할 일

    공익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협력이다. 중간지원조직이든, 사회적 협동조합이든, 시민단체든 공익활동가들은 사회적 가치에 기댄 활동과 그것을 위한 마음가짐이 기본이다. 그런데 한 해를 되돌아보는 지금 완전히 배치되는 두 번의 경험이 생각난다. 하반기 들어서 모 중간지원조직 담당자에게 전화가 왔다. 급한 상황인...
    Date2024.12.02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78
    Read More
  3. 김어구씨의 '어촌 엔잡러' 정착기

    지죽도 죽도 어촌앵커조직 오택진 팀장 오랜 직장 생활을 끝내고 회사를 떠난 것은 나 자신을 위한 용기 있는 선택이었다. 더 이상 회색 빌딩 숲에서 기계처럼 일하고 싶지 않았다. 땀 흘리며 일하고, 그 성과를 온몸으로 느끼고 싶었다. 그래서 10년 넘게 다닌 직장을 뒤로하고 어촌으로 내려왔다. 낯선 바다와 맞서 싸워보...
    Date2024.11.30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77
    Read More
  4. [섬 지역 특성화사업]가의도 자연산 돌미역 시음단을 모집합니다!

    가의도 자연산 돌미역 시음단 모집합니다! 충남 태안군에 위치한 가의도는 올해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 섬 지역 특성화사업 1단계에 선정되어 주민소득 향상을 위한 주력사업을 발굴하고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가의도의 현장관리단을 맡아 가의도의 보석같은 자원들을 더 많은 분들에게 ...
    Date2024.11.15 Category홍보 By관리자 Views56
    Read More
  5. 맨땅에 헤딩, 우당탕탕 어촌앵커생활

    지죽도 죽도 어촌앵커조직 신하나 팀장 인구감소, 지방소멸, 기후변화의 거대한 파도앞에 이제와서 우리가 막을 수 있는 것은 없다며 잠겨가는 섬에서 사람들을 한 명씩 끌어올리려 애쓰기보다는 그들에게 구명조끼를 파는 장사꾼이 되는게 맞지않겠냐는 자조 섞인 사회적기업가의 이야기를 들으며, 무력감을 느낄 수 밖에 ...
    Date2024.10.29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05
    Read More
  6.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앵커조직 전표석팀장 공공미술의 사전적 정의는 ‘공공의 장소에 놓이는 미술’이다. 관계 법령에 의한 공공미술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신, 증축할 경우 도시문화 환경 개선 등을 위해 건축 비용의 일부를 사용해 설치해야 하는 미술작품’으로 규정하고 있...
    Date2024.10.2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22
    Read More
  7. 죽도에서의 하룻밤 체험, '죽도야행(夜行)

    아름다운 죽도의 야경 죽도 가는 길(지죽도 선착장)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약 4년 간 지죽도-죽도 어촌 신활력사업을 진행합니다. 인구소멸 등으로 쇠퇴하는 지죽도-죽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현재 정숙현 현장소장님 포함 6명(4명 상근, 2명 비상근)이 현장 사무소(앵커조직)에 근무 중입니다. 9월 10...
    Date2024.09.26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05
    Read More
  8. 고흥 취도-금사항 앵커조직 채용 면접심사 결과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2024년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 공지 연변 성명 확인(휴대폰 뒷번호) 결과 1 전OO 5700 합격 2 공OO 3531 예비1 3 이OO 3586 예비2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를 위와 같이 공고합니다. * 합격자 중 입사포기, (3개월 내) 중도퇴사 인원 발생시 ...
    Date2024.09.09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24
    Read More
  9. 인구감소 지역의 청년은 주거비 부담에 짓눌려 있습니다.

    인구감소 지역의 청년은 주거비 부담에 짓눌려 있습니다. - 2024년 8월, 장흥군 국토부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사업 선정에 붙임 - 남철관(지역자산화협동조합 이사장) 지방의 중소도시나 군(郡)지역에 살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대체로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구 10만 이하의 작은 지...
    Date2024.09.09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